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제헌헌법
sidemenu open/close
hoi cons_001_0020_0010_0020_0020_0190

[1회 19호] 4장 - 정·부통령을 직접선거가 아닌 간접선거로 하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에 답변(52조) 이미지뷰어 새창

  • 1948년 06월 28일
○專門委員(兪鎭午) … 第五十二條에 關해서 鄭求參議員으로부터 大統領 副統領은 一國의 主席이니만치 愼重히 選擧하여야 할 것이다 故로 一般 民衆으로서 普選을 하는 것이 原則일 것 같은데 國會議員만으로서 選擧한다 理由 如何 萬一 一日間이라도 速히 獨立을 渴望하는 意味로 因하야 國會議員으로서 大統領 副統領을 選出한다면 加一層 速進方法으로 大統領 副統領을 國會議員 中으로서 選出한다는法規는 없을 것인가 이러한 質疑가 계셨습니다 이것은 이미 數 次 말씀한 바와 같이 一般 人民이 主權을 가졌다고 해서 人民이 主權을 直接 반드시 行使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直接 行使하는 境遇도 있고 間接으로 行使하는 境遇도 있겠습니다 大統領을 民衆이 普選한다면 直接 主權을 行使하는 것이 되겠고 國會에서 選擧한다면 間接으로 行使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그러므로 大統領이나 副統領을 國會에서 選擧한다는 것으로서 民主々義 原則에 違反된다고 할 수 없습니다 요前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民選으로 하느냐 國會에서 하느냐 하는 問題는 반드시 主權問題와 關係가 있다느니 보다도 오히려 大統領의 權限을 立法關係의 權限을 이렇게 調整하느냐가 더 重要한 關聯이 있는 것입니다 大統領 副統領 立候補者를 選出하는 法規는 없는 것인가 하는 質疑인데 大統領 副統領 選擧에 關해서는 國會에서 選擧한다고만 해놓고 其他法規를 따로히 定하지 않었습니다 그 理由는 大統領 副統領 選擧에 關해서 直接 民選으로 하는 境遇에는 勿論 가령 美國과 마찬가지로 相當히 仔細한 法規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國會가 選擧하는 境遇에는 따로히 立候補를 한다든지 其他 投票를 行하게 한다든지 하는 詳細한 法規가 없어도 다 圓滿하게 進行되는 것이 여러 外國의 例입니다 事實 問題가 大統領 副統領 選擧에 있어서 國會에서 選擧하는 境遇에는 立候補를 하지 않어도 選擧 前에 미리 國會議員께서 適當한 候補者를 한 사람이라도 아마 大統領 選擧場에 들어오시면 別로히 누구를 候補로 하겠느냐 또 候補者의 定見이 어떠냐 候補者 演說이라든지 選擧演說이라는 것 全部 必要없이 直接 投票하셔도 相關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特別히 記憶나는 것은 佛蘭西 例인데 佛蘭西에서 亦是 大統領 選擧에 關하야 何等의 法規가 없지만 選擧를 圓滑하게 進行되는 것 같습니다 黃斗淵 議員으로부터 大統領 되는 要件 年齡及 市民權 等의 制限 報酬 俸給과 年額 月額別로 明文上에 記錄한 것이 없으니 그 理由 如何 이것은 明文上으로 記錄 안 해도 다 훌륭하게 될 것으로 생각해서 記錄하지 않었습니다

주요용어
유진오/헌법안 제1독회, 대통령, 부통령, 정부통령 선거, 정부 체제, 의회 체제, 직선제, 간선제
(2) 제헌국회 속기록 2 : 정치·재정제도에 관한 논의
제25차 회의에서 국민의 의무까지 다룬 뒤에 곧바로 정치제도에 관한 규정의 토의로 넘어가면서, 이승만 의장은 양원제를 규정하자는 수정안에 대해 ‘이 문제에 대한 토의로 시일을 지연하는 것은 정부수립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취지로 토론제의를 생략하고 단원제·양원제에 택일을 곧바로 표결한 결과 단원제가 가결되었고(#148) 이후 회의는 빠른 속도로 초안을 추인하는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정치제도 부문에서 가장 주요하게 논의된 사항은, 국무총리의 임명을 국회가 승인하도록 하고 그러한 국무총리에게 내각에 해당하는 국무원의 구성에 대한 일정한 독자적 권한을 부여함으로써―이미 대통령중심제를 원칙적으로 채택한 범위 내에서나마―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하여 대통령을 견제)할지의 여부였다. 본래 유진오의 주도로 작성되었던 초안은 제헌헌법 제69조 제1,2항에 해당하는 부분을 “① 국무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고 국회의 승인을 받어야 한다. ② 국무위원은 국무총리 임명에 대한 국회의 승인이 있은 후 국무총리의 提薦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고 규정하였었다. 그러나 기초위원회에서 여기에서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없애 “①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은 대통령이 임면한다”는 내용으로 수정하여 국회에 제출했던 것인데, 국회 본회의에서 (i) 국무총리의 임명에 국회의 승인을 얻도록 하고(총선거로 새 국회가 개회되었을 때에는 재차 승인을 얻도록 함), (ii) 국무위원을 국무총리가 제천한 자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함으로써 유진오의 원안을 되살리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 중 전자에 대하여는 반론이 없었으나, 후자에 대하여는 대통령의 국무위원 임명권을 몰각할 뿐 아니라 도리어 ‘정치적 책임 없는 국무총리가 주도하는 의원내각제’가 된다는 반론이 대두하였고, 결국 전자만을 내용으로 한 수정안이 가결되었다.
그밖에 국회에서의 대통령 간접선거 결과 2차 투표에서도 출석의원 2/3 이상의 득표자가 없는 경우의 결선방식을 규정한 제53조 제2항 후단에 관하여 초안은 이를 “全 투표의 과반수 득표자를 당선자로 한다”고 규정했던 데 대해, 김봉조가 ‘그리할 경우 두세 사람의 결속만으로도 대통령·부통령의 선출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이를 결선투표에서의 “(단순)다수 득표자”로 규정하자는 수정안을 제기하여 가결되었다(#155). 또한 대통령이 국회를 통하지 않고 직접 법률의 효력을 갖는 긴급명령이나 긴급재정처분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유(제57조)를 초안이 “전시 또는 비상사태”로 규정한 것은 나치 독일의 예에 비추어 광범위하게 국민의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비상사태’를 보다 한정된 사유로 열거해야 한다는 동의(진헌식 외 44명)가 가결되었다(#157).
한편 제55조(대통령·부통령의 임기와 보궐절차) 제2항에 관하여 초안이 “부통령은 대통령 재임중 재임한다”고 규정하였는데, 이에 대해 대통령이 탄핵·해임·사망으로 임기중 퇴임하는 경우에 대통령과 똑같이 선거된 부통령이 그러한 대통령과 함께 퇴임해야 한다는 것은 부당하다는 이유에서 이 항을 삭제하다는 수정안이 제기되었으나(김영동 외 13인) 국회가 양자를 동시에 선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이유로 부결되었다. 이 조항은 1954년 헌법에서 삭제되고 부통령이 잔임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승계하도록 개정됨으로써, 1956년 정·부통령선거 이후 고령의 이승만 대통령이 사망할 경우 장면 부통령이 직을 승계하게 될 상황을 초래하였다(#156). 또한 대법원장·대법관을 대통령이 임명(국회 승인 필요)하도록 하지 말고 “법률에 의하야 선정된 자를 대통령이 (반드시) 임명”하도록 함으로써 3권분립을 기하자는 수정안도 제기되었으나(강욱중 외 11인) 그러한 법률상의 선정방식도 불분명할뿐더러 헌법위원회가 설치되므로 대통령이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이 법관임명법(Court Packing Act)의 입법을 추진했던 경우와 같이 사법부 장악을 시도할 유인도 없다는 반론에 부딪쳐 부결되었다(#159).
재정제도를 규정한 제7장에서는 ① 정부가 매 회계연도의 예산안을 편성하여 국회의 의결을 얻기만 하면 되도록 규정한 초안 조항(제91조에 해당)에 더해, 정부로 하여금 이를 “국회의 정기회 개회 초에” 국회에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국회가 충분한 심의를 할 수 있도록 하자는 동의(진헌식 외 44인)가 가결되었고(#164), ② 또한 차기 회계연도가 개시될 때까지 국회에서 예산이 의결되지 않은 경우에 정부가 자동적으로 전년도의 예산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데 대해, (i) 국회가 차기 회계연도가 개시될 때까지 예산(안)을 의결해야 하도록 의무화함과 동시에 (ii)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 그러한 의결이 이루어지지 못한 때에는 국회가 1개월 내에 가예산을 별도로 의결해야만 정부가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회의 예산통제권을 강화하는 동의(진헌식 외 44인) 또한 가결되었다(#165).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