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제1차 헌법개정
sidemenu open/close
hoi cons_002_0020_0030_0030_0050

대한민국 대통령(이승만)이 트루만(Truman)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52년 3월 21일 이미지뷰어 새창

  • 1952년 03월 21일
795B.11/3-2752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hee) to President Truman 註01

註01
This letter was transmitted to Washington in telegram 937 from Pusan, Mar. 27. The original letter, dated Mar. 21 but handed by President Rhee to Muccio on Mar. 27, was pouched to the Department.
닫기

confidential

Pusan, March 21, 1952.


My Dear Mr. President: Your good letter of March 4, 1952 註02
註02
Ante, p. 74.
닫기
was handed to me personally by Amb Muccio and I am exceedingly sorry to realize how I have caused you so much concern by my open statement re the cease-fire negotiations. I need not remind you that it is you who have saved us by your momentous decision to defend Korea against aggression and that we owe you our very lives. My people have been given at least, a fighting chance. Not only Koreans will remember you with deepest gratitude but all the peoples of the free world will always acclaim you as the greatest leader in world history in the cause of human freedom and security. Indeed I am the last person to raise voice against any change you may deem necessary to pursue in your efforts to settle the Communist problem in Korea as well as in the entire world.
Mr. President, allow me to express frankly what I have had in mind for some time past. Please accept this as a sincere personal conviction of one of your grateful admirers, whose only desire is to see you succeed in completing the greatest service you undertook to render to all humanity by checking the expansion of Communism. You will remember how spontaneously the entire free world responded to your call for a joint action against the Communist aggression in Korea and against the possibility of another world war. The cease-fire talks have, however, dampened the morale and high spirit you so inspiringly and effectively aroused among all free men everywhere, besides allowing the Communists to build up to dangerous proportions. I always believed in a strong American leadership in the Orient and I was strengthening the American hand against the middle ground groups in the United Nations. I counted upon a final positive direction coming from the United States at the last moment. Now I simply cannot persuade myself to believe that it is your own opinion and conviction that this change is a right course to follow.
If it is truly your personal conviction that armistice of some kind must be agreed upon and if you want my cooperation in it, there is no question of my doing my best to rise to your expectation, even if I have to do so against my own judgment. But my personal cooperation wld not mean much unless I won a solid support from my people. It is my deep belief, therefore, that my collaboration with you in this matter wld be more effective and more heartily embraced by my people, if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receive your favorable consideration.
(1) A mutual security pact between our two nations, I sincerely believe, is an essential thing. Since your desire has been, as we all know, to defend Korea against Red aggression, there can be no reason for objecting to such a pact which alone wld give the Korean people the supporting assurance they would badly need during a hazardous armistice. With a mutual security pact backing me, I am sure Mr. President, I can succeed in persuading my people to accept an armistice. The absence of any pact of reassuring nature, on the other hand, wld dangerously accentuate the prevalent dread that Korea will be abandoned, if the worst comes to the worst. In that case, the Koreans wld rather fight to death.
Among various current reports, some of which I expect to turn out as groundless rumors: There is a persistent story that certain high US authorities are of the opinion that Koreans cannot defend their country without aid from their neighbors and that the neighbor that would help them is Japan. Should this rumored idea be translated into policy, the Communist cause wld be boosted as being patriotic, native forces fighting Communism utterly demoralized. From bitter past experiences, many non-Communist Koreans wld be forced to hug Communism as preferable to Japanese domination.
(2) The ROK army expansion program should be speeded up, I believe. The Communists keep building up their fighting forces wherever possible and by all available means. We cannot afford to lag behind the Communist tempo in building up our own defences. The dependability and fighting capability of Korean boys have been amply proved in the present conflict in Korea. I willingly place the Korean manpower at the disposal of the free world. If you could commission proper authorities to train, equip and arm an adequate number of Koreans, part of whom wld serve as UN police force anywhere in the world, if so required, it wld be a wise plan for world security, apart from the security of Korea. I very much wish your govt explicitly to commit itself to a definite well-worked-out program for expanding ROK army. I do not doubt that my people thus assured of their national safety, will be more readily persuaded to cooperate with you in the matter of armistice.
Let me say a few more words to assure you that this nation is one in perfect unity, so far as our struggle against Communism is concerned, which assurance you seem to like to have, as a certain passage in your letter indicates. There is nothing that will shake this national unity. It is true that we have political controversies from time to time. But it is a distortion to represent these controversies as disunity. As a matter of fact, controversies are inalienable from free discussion, just as free discussion is inalienable from democracy. Stamp out controversies and we shall stamp out democracy.
Recently, an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was proposed to the effect that the President be elected by popular vote instead of the Assembly vote, as provided for in the present Constitution, and that the National Assembly be made bicameral. 註03
註03
This amendment to the Republic of Korea’s constitution was the focal point of conflict between President Rhee and his opponents in the National Assembly. In an effort to assure his own reelection, Rhee attempted to force the amendment through the Assembly with the required two-thirds majority. Failing this, Rhee tried to go over the heads of the Assembly members by suggesting that the issue be settled by popular referendum.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countered with an amendment of their own calling for a parliamentary system with the cabinet responsible to the Assembly rather than the President. For more details on this constitutional crisis, see UN document A/2187, pp. 5-6.
닫기
The proposal was made with a view to broadening as well as perpetuating the basis of the republican form of govt. The developments around this problem of constitutional amendment have been misrepresented as something threatening the national unity. But, I assure you, Mr. President, that they do not affect unity, so long as they take place in the free atmosphere of open discussion. It is my faith that the will of the people will be the ultimate arbiter of all political matters.
With sincere wishes and prayers for your good health and success.
Yours cordially,

Syngman Rhee

註01
This letter was transmitted to Washington in telegram 937 from Pusan, Mar. 27. The original letter, dated Mar. 21 but handed by President Rhee to Muccio on Mar. 27, was pouched to the Department.
註02
Ante, p. 74.
註03
This amendment to the Republic of Korea’s constitution was the focal point of conflict between President Rhee and his opponents in the National Assembly. In an effort to assure his own reelection, Rhee attempted to force the amendment through the Assembly with the required two-thirds majority. Failing this, Rhee tried to go over the heads of the Assembly members by suggesting that the issue be settled by popular referendum.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countered with an amendment of their own calling for a parliamentary system with the cabinet responsible to the Assembly rather than the President. For more details on this constitutional crisis, see UN document A/2187, pp. 5-6.
795B.11/3-2752

대한민국 대통령(이승만)이 트루만(Truman)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註01

註01
이 편지는 3월 27일 부산발 937전문에서 워싱턴으로 전송되었다. 편지 원본은 3월 21일자이지만 3월 27일에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수신하여 국무부에 외교 행낭으로 배송되었다.
닫기

3급비밀

1952년 3월 21일 부산


친애하는 대통령께: 1952년 3월 4일자 당신의 훌륭한 편지 註02
註02
앞에 수록된 편지, p. 74.
닫기
는 무쵸(Muccio)대사에 의해 저에게 개인적으로 전달되었고, 저는 정전협상에 관한 저의 공개 성명이 당신에게 얼마나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는지를 깨닫고는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당신이 침략에 맞서 한국을 방어한다는 중대한 결정을 함으로써 우리를 구원한 사람이며 우리가 목숨 자체를 당신에게 빚지고 있다는 점을 굳이 상기시킬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한국 국민들은 적어도 싸울 기회를 부여받았습니다. 한국인들은 매우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당신을 기억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자유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인류의 자유와 안전이라는 신조를 세계사에 구현한 위대한 지도자로 당신에게 갈채를 보낼 것입니다. 진실로 저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전역에서 공산주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당신의 시도에 모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것에 반대하여 문제를 제기한 최후의 인물입니다.
대통령 각하, 제가 지난 시간 동안 품어 왔던 것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부디 이것을 당신이 공산주의의 팽창을 견제함으로써 전 인류에 이바지하는 원대한 사명을 완수하기를 바랄뿐인 당신의 수많은 숭배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지닌 진지한 개인적 신념으로 받아들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신은 전 자유세계가 한국에서의 공산주의의 침략과 또 다른 세계대전의 가능성에 대항하는 당신의 공동 행동 요청에 어떻게 자발적으로 호응했는지를 기억할 것입니다. 그러나 정전회담은 공산주의자들이 위험한 수준으로 증강되는 것을 허용한 것 외에도 당신이 세계 도처의 자유인들에게 그토록 고무적이고 효과적으로 고취시킨 사기와 진취적 기상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저는 항상 동양에서 미국의 강력한 지도력을 신뢰하고 있고 유엔의 중도 그룹들에 맞서 미국의 입장을 강화해 왔습니다. 저는 최근에 미국에서 나온 최종적인 적극적 방침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이제 저는 그것이 당신 자신의 의견이라고 믿도록 제 자신을 설득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변화가 올바른 과정을 이끌게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모종의 정정협정이 합의되어야 한다는 것이 진정 당신의 개인적인 확신이고 제가 그것에 협력하기를 바란다면 제 자신의 판단을 거스른다고 해도 당신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제가 최선을 다한다는 것에는 의심이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제가 한국 국민들로부터 굳건한 지지를 얻지 못한다면 저의 개인적인 협력은 큰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당신과 저의 협력은 다음과 같은 제안들이 당신의 호의적인 고려를 받을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한국 국민들이 보다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굳게 믿습니다.

(1) 저는 우리 양국간의 상호 안보협정이 필수적인 사안이라고 진지하게 갱각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아는 바처럼, 당신의 바램이 공산도당의 침공에 맞서 한국을 방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정전 기간 동안 한국 국민들이 매우 필요로 할 수 있는 안전 보장 조치를 단독으로 부여할 그러한 협정에 반대할 이유는 없습니다. 저를 뒷받침하는 상호안보협정과 더불어 저는 한국 국민들이 정전협정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반면, 재보장 성격을 갖는 협정의 부재로 인해 최악의 경우 한국이 포기될 수 있다는 널리 퍼진 우려를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그럴 경우, 한국인들은 죽기를 각오하고 싸울 것입니다.
현재 나와 있는 다양한 보고서들 가운데 일부는 근거 없는 소문으로 판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의 어느 고위 당국자들이 한국인들은 그 주변국가들, 그들을 도울 일본과 같은 주변국으로부터의 원조 없이는 나라를 지키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문에서 비롯된 생각이 정책으로 옮겨진다면 공산주의자들의 대의가 마치 애국적인 것인양 부추겨질 것이고, 공산주의와 싸우는 한국군의 사기가 떨어질 것입니다. 과거의 쓰라린 경험으로부터 공산주의자가 아닌 많은 한국인들이 공산주의를 일본의 지배보다는 나은 것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2) 저는 한국군 확장 프로그램이 서둘러 추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공산주의자들은 가능한 한 어디에서든지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자신들의 군사력을 증강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체적인 방위를 증강하는 데 공산주의자들의 속도 뒤에서 지체할 여유가 없습니다. 한국 청년들의 방어력과 전투 역량은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분쟁에서 충분히 입증되어 왔습니다. 저는 한국의 인력을 자유세계의 처분대로 기꺼이 맡길 용의가 있습니다. 당신이 세계의 어느 지역에서 유엔의 경찰로 복무할 일원이 될 충분한 수의 한국인들을 훈련시키고 장비를 갖추고 무장시킬 수 있는 적절한 기구를 위임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한국의 안보와는 별도로 세계 안보를 위한 현명한 계획이 될 것입니다. 저는 귀국 정부가 한국군 확장을 위해 명확하게 잘 운용될 프로그램에 대해 자임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자국의 안전에 대해 확신을 가지게 된 한국 국민들이 정전협정 문제에서 당신과 협력하도록 더욱 확실하게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당신 편지의 특정 구절에서 지적한 바대로 당신이 보장하고 싶어 하는 공산주의에 맞선 우리의 투쟁에 관한 한, 이 나라가 완전하게 통일된 하나라는 점을 다짐하기 위해 몇 마디 덧붙이겠습니다. 이러한 국가적 통일을 뒤흔들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우리가 때때로 정치적 논쟁을 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들을 분열로 보는 것은 왜곡입니다. 실제로 자유로운 토론이 민주주의의 절대적 요건인 것처럼 논쟁은 자유로운 토론에 필수적입니다. 논쟁을 억누른다면 민주주의를 억압하게 될 것입니다.
최근에 대통령을 현행 헌법이 명시하고 있는 것처럼 국회에서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하고 국회를 양원으로 만들자는 헌법 개정안이 제출되었습니다 註03
註03
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안의 초점은 이승만 대통령과 그에 반대하는 국회의원들 사이의 갈등이다. 자신의 재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승만은 국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통해 개정안을 통과시키려고 하고 있다. 이것이 실패하면, 이승만은 이 문제가 국민 투표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고 제안함으로써 중진 국회의원들을 설득하려 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대통령제보다는 내각책임제를 요청하는 개정안으로 맞받아치고 있다. 헌법 개정을 둘러싼 위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엔 자료 A/2187, pp. 5~6 참고.
닫기
. 이 제안은 공화국 형태의 정부의 기초를 영구 보존할 뿐만 아니라 확대한다는 관점에서 마련된 것입니다. 이러한 헌법 개정 문제를 둘러싸고 전개된 사태들은 국가적 통일을 위협하는 것으로 오해되어왔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러한 사태들이 자유로운 공개 토론의 분위기에서 발생하는 한 통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대통령께 다짐합니다. 저의 신념은 국민의 의지가 모든 정치 사안에 대한 궁극적 결정 요소가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당신의 건강과 성공을 진심으로 기원하며

이승만

註01
이 편지는 3월 27일 부산발 937전문에서 워싱턴으로 전송되었다. 편지 원본은 3월 21일자이지만 3월 27일에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수신하여 국무부에 외교 행낭으로 배송되었다.
註02
앞에 수록된 편지, p. 74.
註03
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안의 초점은 이승만 대통령과 그에 반대하는 국회의원들 사이의 갈등이다. 자신의 재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승만은 국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통해 개정안을 통과시키려고 하고 있다. 이것이 실패하면, 이승만은 이 문제가 국민 투표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고 제안함으로써 중진 국회의원들을 설득하려 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대통령제보다는 내각책임제를 요청하는 개정안으로 맞받아치고 있다. 헌법 개정을 둘러싼 위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엔 자료 A/2187, pp. 5~6 참고.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